보시2 맑은 행복을 위한 345장의 불교적 명상 91. 보시布施 잘 주는 것도 보시이지만 잘 받는 것도 보시이다. 잘 주기도 어렵지만 잘 받기 또한 너무나 어렵다. 받기만을 바라는 사람이 있다면 그의 받음은 받을수록 자신의 재산을 까먹는 일이다. 또한 받는 일을 부채로 여기며 갚을 날만을 기다리는 사람이 있다면 그의 받음은 거래의 일종이다. .. 2010. 7. 10. 맑은 행복을 위한 345장의 불교적 명상 90. 무재칠시無財七施 보시라는 말 앞에서 재물을 먼저 떠올리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이 시대가 재물을 중심으로 움직이고 중생들은 재물을 받아야 받은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재물이 없어도 보시할 수 있는 일곱 가지 길이 있다. 다들 알다시피 顔施, 言施, 心施, 眼施, 身施, 坐施, 察施.. 2010. 7. 9. 이전 1 다음